본문 바로가기

미국 상장 ETF

TLT ETF, 미국 장기 국채(만기 20년 이상) ETF, 제 1편(투자목표, 기본정보, 시가총액, 거래량, 수수료, 배당)

1. TLT의 투자 목표


TLT ETF는 미국에서 발행한 장기 국채에 투자하는 ETF 입니다. 미국 발행 채권은 대표적인 안전 자산으로 분류됩니다. 다만 장기채는 만기가 길어 가격 변동성이 단기채에 비해 높은 편입니다. 변동성이 높은만큼 수익률은 더 높죠. 채권 가격은 금리의 영향을 많이 받게 되는데요. 보통 금리와 채권 가격은 반대로 움직입니다. 즉, 금리가 떨어지면 채권의 가격은 오르고 금리가 올라가면 채권의 가격은 하락하게 됩니다. 그 이유는 기존 채권의 경우 금리가 올라가게 되면 새로 발행된 채권의 금리는 높아지게 되고 그 자체로 기존 채권의 가치가 떨어지게 되기 때문입니다. 당연히 금리가 낮은 기존 채권보다 금리가 높은 발행 채권의 가치가 높아지게 되는 것이죠. 이러한 원리에 의해 채권 가격은 변동하게 됩니다. 요즘 같은 저금리 시대에 채권 투자가 좋지 않다는 의견도 있지만 안정적인 포트폴리오를 위해서는 미국 국채와 같은 포지션의 확보는 필수적입니다.


위의 내용은 운용사인 BlackRock의 홈페이지에 올라와있는 Prospectus PDF 파일을 참고한 내용입니다. TLT는 20년 이상 만기가 남은 미국 국채 지수에 연동하여 가격이 변동되는 ETF 임을 알 수 있습니다.




2. TLT의 기본정보


TLT ETF에 투자하기 전 기본적인 정보들부터 알아보고 투자해야겠죠? 수익률이나 백테스트에 들어가기전에 기본적인 정보들부터 알아보겠습니다.


2.1 출시일 및 운용사


첫째로 TLT에 대해 알아볼 것은 출시일과 운용사입니다. TLT는 2002년 7월 22일에 출시되어 대략 18년간 운용되고 있으며 TLT의 운용사는 BlackRock입니다. BlackRock은 세계 최대의 자산 운용 회사이며 운용자산이 6.5조달러에 이르는 어마어마한 회사입니다. BlackRock은 1988년 뉴욕 맨해튼에 작은 사무실에서 출발했으나 엄청난 진가를 발휘하며 세계 1위의 자산운용사로 등극했습니다.



2.2 시가총액


TLT의 시가총액은 ETF 시총 순위 46위인 $18.3B(2020. 4. 7. 기준)입니다. 이전 포스팅에서 알아본 SPY(시가총액 $239.74B)보다는 시가총액이 현저히 작지만 미국 장기채에 투자하는 ETF 중에서는 가장 큰 규모의 ETF입니다.



2.3 거래량


이제 TLT의 거래량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저번 SPY 포스팅에서도 말씀드렸듯이 거래량이 적으면 거래 체결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으므로 ETF 투자를 계획하실 때는 꼭 거래량을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TLT의 거래량은 하루에 18,260,261주(45거래일 평균), $2.87B(45거래일 평균)의 거래가 발생되고 있습니다.



2.4 수수료


지금부터 알아볼 항목은 수수료입니다. 많은 분들이 중요하게 생각하실 항목이네요. TLT는 연 0.15%의 수수료를 부과하는데요. 수수료 항목은 Management Fee 즉, 운용비로만 부과되네요. 다른 항목들은 외국에서 투자했을 시에 발생하는 세금이나 다른 비용입니다. 한국에서 투자할 경우에는 연간 250만원까지는 차익에 대한 세금이 면제되나 250만원을 초과한 수익은 양도소득세 22%를 공제하게 됩니다. 다른 비용은 아마도 사용하시는 증권사에 따른 거래비용이 발생할 것입니다(키움증권 기준 매수, 매도 각각 0.1%, 이벤트 적용). 세금이나 증권사 거래비용 등은 차후에 준비하여 포스팅 하도록 하겠습니다.



2.5 배당지급주기 및 배당률


TLT는 매 월 배당을 지급합니다. 매 달 주당 0.24$(2020년 2월 기준)를 배당하며 이를 연 배당률로 환산하면 1.79% 정도가 됩니다. 최근 3년 평균으로 보았을 때 최근 배당이 -3.76% 줄어든 것으로 보입니다. 하지만 0.24$ ~ 0.28$ 가량의 현금을 안정적으로 배당하고 있고 미국채의 안정성을 생각한다면 상당히 좋은 현금흐름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됩니다. 무엇보다 월배당이라는 장점도 있구요. 포트폴리오에 TLT를 일정량 가져간다면 훌륭한 배당 재투자 및 현금 흐름의 장점을 취할 수 있을 것 입니다.




다른 글 보기

SPY ETF, 미국 S&P 500 지수 추종 ETF, 제 1편